여한구는 1969년 11월 14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행정가입니다. 함양 여씨 본관이며, 현재 제6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취임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는 이미 문재인 정부에서 제3대 통상교섭본부장을 역임한 바 있습니다. 여한구 본부장은 뛰어난 학력을 자랑합니다. 경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경영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스쿨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이어서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으며 전문성을 강화했습니다.
그의 경력은 통상 분야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제36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발을 들였고, 지식경제부 자유무역협정팀장, 기후변화정책과장 등을 거쳤습니다. 세계은행 선임투자정책관으로 국제 경험을 쌓았으며, 산업통상자원부 다자통상협력과장, TPP 대책단 부단장 및 단장, 통상정책국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외교부 주미합중국대사관 상무관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을 거쳐 문재인 정부의 대통령비서실 신남방·신북방비서관으로 근무했습니다.
이후 제3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아시아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ASPI) 연구위원, 국회의장 직속 경제외교자문위원회 민간위원,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재명 정부의 제6대 통상교섭본부장으로 다시 한번 중책을 맡게 되었습니다.
여한구: 대한민국 통상 전문가, 제3대 및 제6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여한구는 대한민국의 뛰어난 관료이자 통상 전문가로, 현재 제6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취임 예정입니다. 그는 이미 문재인 정부에서 제3대 통상교섭본부장을 역임한 바 있어, 이재명 정부의 통상 정책을 이끌 적임자로 다시 한번 기용되었습니다. 1969년 11월 14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난 그는 1992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해에 제36회 행정고시에 합격하며 공직에 발을 들였습니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스쿨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며 국제적인 감각과 전문성을 길렀습니다. 특히 하버드 재학 시절 아시아 비즈니스 클럽(ABC) 공동 회장을 맡아 하버드 최대의 아시아 비즈니스 컨퍼런스를 주관하기도 했습니다.
통상 분야 전문 경력과 국제적 활약
여한구 본부장은 대한민국 통상 정책의 핵심 브레인으로서 폭넓은 경력을 쌓았습니다. 지식경제부 자유무역협정팀장, 기후변화정책과장 등을 거쳐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세계은행 선임투자정책관으로 파견되어 방글라데시, 인도, 아이티 등 다양한 국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국제적인 경험을 쌓았습니다. 특히 방글라데시 저탄소 산업 프로젝트 리더로서 '팀 퍼포먼스 어워드'를, 아이티 산업 재건 프로젝트 기여로 '금융 및 민간부문개발 부총재 프로젝트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한국으로 복귀한 후에는 산업통상자원부 다자통상협력과장, TPP 대책단 부단장 및 단장, 통상정책국장 등을 역임하며 주요 통상 현안을 다뤘습니다. 특히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외교부 주미합중국대사관 상무관(공사참사관급)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기 한미FTA 개정 협상, 철강 232조 쿼터 협상 등을 현지에서 총괄하며 대한민국의 통상 이익을 지켰습니다. 1급으로 승진하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을 역임했으며, 2019년 한-영 FTA, 한-인도네시아 CEPA, RCEP 협상 등의 수석대표를 맡아 성공적으로 타결했습니다.
청와대 경험과 통상교섭본부장 재임 성과, 그리고 미래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청와대 신남방·신북방비서관을 지내며, 2021년 5월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 간 공급망 파트너십 및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성사에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2021년 8월 제3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재직 중 한-필리핀 FTA 타결, 한-걸프협력이사회(GCC) FTA 협상 재개, 한-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KSDPA) 최종 타결,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 협상 재개 등 굵직한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또한,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절차를 마무리하고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가입을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2022년 5월 직에서 물러났지만, 2023년 3월 국회의장 직속 경제외교자문위원회 민간위원, 같은 해 6월부터는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위원으로 임명되어 한국 정부 전직 통상 관료 중 최초로 미국 유수의 싱크탱크에서 상주 선임위원으로 활동했습니다. 2024년 8월에는 미국 하버드 케네디스쿨 기업정부센터(M-RCBG) 선임연구원(Senior Fellow)으로 영입되는 등 국제 통상 분야에서 그의 전문성은 끊임없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2025년 6월, 제6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으로 또다시 기용되어 대한민국 통상 정책을 이끌어갈 예정입니다. 그는 '하버드 MBA의 경영수업', '그들은 왜 신발대신 휴대전화를 선택했는가' 등의 저서도 출간했습니다.
피터슨 국제 경제 연구소 선임 위원 통상교섭본부장 피터슨 프로필 본부장
'정치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세의 : 가로세로연구소 (가세연) 대표, 그에 대해 알아보자. (8) | 2025.06.11 |
---|---|
이형일 : 제16대 기획재정부 제1차관, 그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5.06.10 |
주낙영 : 경주시장, 그에 대해 알아보자. (4) | 2025.06.10 |
김용태 : 국민의힘 청년 정치인, 그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5.06.08 |
우상호 : 정무수석비서관, 그에 대해 알아보자. (5)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