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호 부회장은 1960년 3월 6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정현호는 덕수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과정을 이수하며 글로벌 경영 지식과 리더십을 학습했다. 정 부회장은 정현호의 학문적 배경과 탁월한 경영 능력을 바탕으로 삼성그룹의 주요 임원으로 자리잡았다. 정현호 부회장은 삼성전자의 사업지원 TF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2021년 12월 7일부터 삼성전자 사업지원 TF의 부회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이 역할을 통해 삼성전자의 다양한 전략적 사업 지원을 이끌고 있다. 삼성전자의 비즈니스 운영을 최적화하고, 그룹의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결정을 내리는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다. 정 부회장은 그동안 삼성전자의 다양한 부문에서 오랜 경험을 쌓아온 인물로, 특히 경영 전략 및 사업 개발에 능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현호는 경영학에서의 깊은 지식과 현장에서의 실무 경험을 결합해 삼성전자가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도록 기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현호: 삼성전자 사업지원 TF장 부회장, 이재용 회장의 측근
정현호 부회장은 삼성전자의 사업지원 TF장(CEO 보좌역) 부회장으로, 이재용 회장의 측근이자 그룹 2인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정현호는 1983년 삼성전자 국제금융과로 입사해 삼성에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이후 2002년 삼성전자 경영관리그룹장, 2006년 전략기획실 상무, 2008년 무선사업부지원팀장 등을 역임하며 다양한 역할을 맡았다. 특히 삼성전자의 디지털이미징사업부장을 맡은 후, 미래전략실경영진단팀장으로 빠르게 승진한 정현호는 삼성의 핵심 부서에서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2014년에는 미래전략실 인사지원팀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2017년 국정농단 사건으로 미래전략실이 해체되면서 잠시 삼성을 떠났다가 2017년 말 사업지원 TF팀장으로 복귀했다.
복귀 후, 정현호 부회장은 이재용 회장의 직속인 사업지원 TF를 이끌며 삼성전자의 주요 계열사들 간의 공통된 이슈를 조율하는 역할을 맡았다. 공식 직함은 CEO 보좌역이지만, 삼성 안팎에서는 정현호가 사실상 전자 계열사들 간의 조율을 담당하며 전자 전체를 총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전실이 해체된 이후 전략적 결정을 통합적으로 조율하기 위해 사업지원 TF를 운영하고 있으며, 정 부회장이 이끄는 TF는 그 역할을 맡고 있다. 재계 관계자들은 그를 삼성전자의 ‘미니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인물로 보고 있으며, 정현호의 강력한 리더십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정현호 부회장은 2022년 삼성의 정기 인사에서 부회장으로 승진하며, 이재용 회장의 '뉴삼성' 전략을 뒷받침할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정현호는 과거 이학수 부회장, 소병해 부회장 등과 함께 삼성의 핵심 재무통 라인에서 활동하며 경영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이재용 부회장과의 특별한 관계는 그들의 학문적 배경에도 깊은 연관이 있다. 두 사람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유학 시절을 함께 보내며 끈끈한 인연을 쌓았고, 그 이후에도 서로의 경영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이러한 관계는 삼성바이오 회계 부정 의혹 등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정 부회장이 이재용 부회장을 지원하는 모습을 통해 그에 대한 신뢰가 얼마나 깊은지를 알 수 있다.
정현호: 삼성전자 위기의 진원지로 거론되는 부회장
정현호 부회장은 2017년부터 삼성전자의 사업지원 TF장 직위를 맡아 7년간 재직해 왔으며, 2024년 현재 삼성전자의 위기 상황에서 정현호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정현호의 리더십 하에 삼성전자는 여러 전략적 결정을 내렸지만, 그 결과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특히 M&A와 관련된 전략에서는 하만 인수 이후 큰 성과를 보지 못하고, 갤럭시 CPU 코어 개발팀 해체, 고대역폭메모리 연구 중단, 범용 D램 공정 전환 지연 등 여러 중요한 사업이 지연되거나 취소되었다. 이러한 결정들은 장기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 부족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초격차를 유지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부 중요한 기술적 투자들이 비용 문제로 반려되면서, 삼성은 SK하이닉스와 같은 경쟁사에게 주도권을 내주게 되었다.
또한, 2024년 삼성전자의 노사 갈등 과정에서 정현호 부회장은 비선실세로 비판을 받았다. 노조 측은 이재용 회장을 바지사장으로 지칭하며, 정 부회장이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비판은 정현호가 삼성전자의 최고 의사결정자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정현호의 리더십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엔지니어링 분야보다는 재무와 인사를 중시하는 정현호의 경영 스타일이, 기술 중심의 삼성전자에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과거 인텔의 몰락 사례를 연상시키며, 정 부회장의 리더십이 삼성전자의 미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정현호 부회장이 삼성전자의 컨트롤타워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2024년 5월까지는 신설된 컨트롤타워의 유력한 책임자로 거론되었던 정현호의 경영 스타일과 결정이 이제는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정현호가 삼성전자 주식을 한 주도 보유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그에 대한 신뢰를 더욱 의심하게 만든다. 주식 보유는 경영자에게 회사에 대한 헌신을 상징하는 요소로 여겨지며, 이를 결여한 정현호 부회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정현호가 맡은 역할과 책임이 삼성전자의 위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이다.